세계사 100장면 - 96. 고르바초프로 시작해서 콜로
-독일 통일(1990년)
*그때 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한,소 수교
1990년 10월 3일 0시,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바로 옆에 자리 잡은 제국의회 의사당 앞 광장에는 수십만의 인파가 모여 있었다.
서독의 헬무트 콜 총리, 빌리 브란트 전총리, 동독의 바이츠제커 대통령, 데메지에르 총리, 인민의회 의장 자비네 베르그만 폴 여사 등 동서독 지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면 계단 앞에 세워진 국기 게양대에 삼색기가 천천히 올라갔다. 군중들은 일제히 독일국가를 합창했다.
자유의 종이 은은히 울려퍼졌다. 뒤이어 환성이 터지고 폭음소리와 함께 찬란한 불꽃이 치솟아 밤하늘을 수놓았다. 동서로 갈려 있던 독일이 45년 만에 하나로 통일되는 순간이었다.
이에 앞서 2일 저녁 9시, 동베를린의 샤우슈필하우스에서는 동독 정부 해체식이 거행되었다. 시종 무거운 분위기였다. 쿠르트 마주르의 지휘로 게반트 하우스 오케스트라가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환희의 송가 만 아니라면 눈물을 흘릴 것 같은 착잡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통일 기념행사는 의외로 차분히 진행되었다. 3일 오전 11시, 카라얀의 옛집인 베를린 필하모니 연주 홀에서는 통일 독일 출범행사가 개최되었다. 동독 인민의회 의장 자비네 베르그만 폴 여사가 맨 먼저 연단에 올라섰다.
오늘은 우리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무슨 일을 함께 하며 무슨 결과를 기다려야 할 것인지 생각하고 물어야 할 시간입니다....
오후가 되자 브란덴부르크 문과 제국의회 광장은 다시 인파로 뒤덮였다. 아이들을 데리고 나와 두 건물에 얽힌 역사를 설명해주는 부모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동독, 정식 명칭 독일민주공화국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대신 서독, 정식명칭 독일연방공화국이 면적 37만 5천km2, 인구 7천 760만 명을 가진 유럽의 거인으로 재탄생했다.
면적으로는 프랑스, 에스파냐 다음의 3위이지만 인구는 서유럽 제1위이며, 유럽 전체로 보아도 소련 다음 가는 대국이 된 것이다. 통일 이전의 서독은 국민총새산 세계 3위, 제일의 수출국, 유럽 공동체 공업생산량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독은 동유럽 사회주의국 가운데 가장 선진이었다.
89년 10월 9일 라이프치히에서 자유, 민주 를 외치는 10만 군중의 시위로 시작된 동독의 개혁은 꼭 일년 만에 서독으로의 흡수통합에 의한 독일 통일로 종결되었다.
동독은 노동자들에게 버림받았다. 90년 3월 18일의 총선에서 동독 노동자들의 63%가 서독과의 급속한 통합을 지지하는 기독교민주연합 등 우익정당에 몰표를 던졌다. 그간 살아온 사회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낳은 결과였다.
첫째, 당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있었다. 당의 선전매체들은 항상 동독이 최고라고 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동차를 사려면 15년을 기다려야 하고, 집을 얻으려면 1천 마르크의 뇌물을 줘야 할 정도로 부패가
만연했다.
노동자들 사이엔 다음과 같은 농담이 퍼져 있었다. 한 동독시민이 경찰에 가서 외국으로 여행하고 싶다고 했다. 어디로 가고 싶으냐는 물음에 그는 동독으로 가고 싶다고 대답했다. 이상하게 여긴 경찰이 어떤 동독으로 가고 싶으냐고 묻자, 텔레비전이나 신문에 나오는 동독으로 가고 싶다고 했다는 것이다.
둘째, 비밀경찰 슈타지의 감시에 대한 불만이 매우 컸다. 8만의 정규요원, 12만의 비정규요원을 거느린 슈타지는 직장뿐 아니라 사생활까지 비집고 들어왔다. 비정규요원들은 월 1천 마르크와 자동차를 빨리 공급받을 수 있는 혜택을 누리기 위해 자진해서 슈타지에 협력했다.
셋째, 공장경영에 대한 불만이었다. 극단적인 획일주의가 노동자들의 의욕을 떨어뜨렸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나 빈둥거리며 시간만 보내는 사람이나 받는 보수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간부들의 무사안일주의,
관료적 태도는 노동자들의 창의력을 결정적으로 파괴했다.
넷째, 낙후된 서비스 산업과 질 나쁜 소비재에 대한 불만이 컸다. 국가에서 경영하는 서비스 산업은 노동자들이 일하는 시간에만 영업을 하기 때문에 라디오나 자동차가 고장나면 근무시간에 자리를 비워야만
했다. 한편 좋은 품질의 소비재는 모두 수출되고 정작 국민들에게는 질 나쁜 것만 공급되고 있었다.
동독 노동자들의 불만은 목구멍까지 차오른 상태였다. 그들은 실업상태가 어떤 것인지 몰라 불안하기 하지만 지금까지처럼 일할 수는 없다. 그러느니 차라리 실업자가 되는 게 나을지 모른다고 생각할 정도로 동독 사회주의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는 이들의 불만을 자유와 민주, 시장경제에 대한 열망으로 타오르게 했다. 독일인이 통일 직후 가장 많이 쓴 말은 당케, 고르비 였다. 동독 정권이 위기에 몰렸을 때, 소련이 무력개입을 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함으로써 통일에 결정적인 일조를 했다는 뜻에서이다.
탈출하는 동독인에게 국경을 개방하여 통독의 기폭제 역할을 한 헝가리도 감사의 대상이 되었다. 라이프치히에 있는 카를 마르크스 대학의 철학교수 바바라 안더스는 동독의 변화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동독의 비극은 지난해 필연적으로 발생한 민주혁명이 서독으로의 병합으로 끝났다는 데 있다. 고르바초프로 시작해서 콜로 끝났다.
'알쓸신잡 > 세계사 100장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100장면 - 100. 소비에트 연방 해체, 독립국가공동체 출범(1991년) (0) | 2020.06.22 |
---|---|
세계사 100장면 - 99. 현대의 흑사병, 에이즈. 제4차 세계 에이즈 날(1991년) (0) | 2020.06.13 |
세계사 100장면 - 98. 미국, 단거리 핵 폐기 선언 (1991년). 핵과 인류의 미래 (0) | 2020.06.02 |
세계사 100장면 - 97. 걸프 전쟁 발발(1991년) 아랍 민족주의의 화신, 후세인 (0) | 2020.05.25 |
세계사 100장면 - 95. 루마니아, 차우세스쿠 대통령 처형(1989년). 루마니아 영웅에서 독재자로 (0) | 2020.04.20 |
세계사 100장면 - 94.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개시(1986년). 새롭게 펼쳐지는 팍스 아메리카나. (0) | 2020.03.29 |
세계사 100장면 - 93.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 추진(1986년) (0) | 2020.03.17 |
세계사 100장면 - 92. 제1차 석유파동 발생(1973년). 세계를 뒤흔든 아랍의 자원민족주의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