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2025.R03 - 일본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Japan GP Qualifying Results)
F1 이야기/F1 - 2025 시즌 2025. 4. 5. 13:42
F1.2025.R03 - 일본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Japan GP Qualifying Results)
스즈카(Suzuka) 서킷 구조


일본의 미에현에 위치하고 있는 스즈카 인터내셔널 서킷은 1962년에 개장되었으며 혼다 자동차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첫 F1 그랑프리는 1976년에 열렸으며 중간에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2007년과 2008년에는 개최되었다가 그 이후로는 스즈카 서킷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5.807km 길이의 트랙은 18개코너로 이루어져 있는 스즈카 서킷은 F1 서킷중에서 유일하게 트랙위를 트랙이 지나가는 8자 형태를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3번코너에서 6번 코너로 이어지는 마치 슬라럼 같은 S자코스와 130R 코너가 가장 유명하며 특히 130R코너는 대형사고나 많이 나기로 악명이 높습니다.
한가지 바뀐 점이라면 작년까지는 DRS 디텍션 포인트가 16번 코너 직전에 설정되어 있었지만 2023년에 15번 코너 직후에 디텍션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2014 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당시 마루시아 F1팀 소속이였던 쥘 비앙키(Jules Bianchi)가 생을 마감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비앙키는 앞서 사고가 나서 트랙밖에 나가있던 아드리안 수틸의 차량을 수습하던 리커버리 차량에 엄청난 속도로 충돌했고 이 사고로 비앙키는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되었습니다. 그후 비앙키는 그의 고향인 프랑스 니스로 옮겨졌지만 비앙키는 끝내 일어나지 못하고 2015년 7월 17일 고향 니스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
장례식은 그의 고향인 프랑스의 니스의 대성당에서 치뤄진 후 화장되어 모나코에 위치한 몬테 카를로 공동묘지에 안장되었으며 이때 많은 동료 드라이버들이 그와 함께 했습니다. 사고 직후 태풍의 영향으로 수송용 헬기를 띄우지 못해 엠뷸런스로 병원에 후송되었는데 이로 인해 골든타임이 지나버렸다고 합니다.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로 인해 경기가 열리지 않았으며 작년 경기에서는 레드불의 베르스타펜이 3년 연속 폴포지션을 가져간후 레이스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역시 3년 연속 우승으로 3년 연속 폴투윈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같은 팀의 페레즈가 2위, 페라리의 사인츠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었습니다.
개막 이후 2경기를 레드불에서 달렸던 리암 로슨이 성적부진으로 VCA_RB팀으로 내려가고, VCA_RB에 있던 유키 츠노다가 콜업되어 일본 그랑프리부터 레드불에서 경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폴포지션 드라이버
2024년 : 베르스타펜
2023년 : 베르스타펜
2022년 : 베르스타펜
2019년 : 베텔
2018년 : 해밀턴
2017년 : 해밀턴
2016년 : 로즈버그
2015년 : 로즈버그
최다 우승 드라이버
슈마허 - 6회 우승 (1995, 1997, 2000, 2001, 2002, 2004)
해밀턴 - 4회 우승 (2014, 2015, 2017, 2018)
베텔 - 4회 우승 (2009, 2010, 2012, 2013)
베르스타펜 - 3회 우승 (2022, 2023, 2024)
최다 우승 팀
멕라렌 - 7회 우승 (1988, 1991, 1993, 1998, 1999, 2005, 2011)
페라리 - 7회 우승 (1987, 1997, 2000, 2001, 2002, 2003, 2004)
메르세데스 - 6회 우승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레드불 - 6회 우승 (2009, 2010, 2012, 2013, 2022, 2023)
최근 그랑프리 우승자
2024 - Max Verstappen, Red Bull
2023 - Max Verstappen, Red Bull
2022 - Max Verstappen, Red Bull
2019 - Valtteri Bottas, Mercedes
2018 - Lewis Hamilton, Mercedes
2017 - Lewis Hamilton, Mercedes
2016 - Nico Rosberg, Mercedes
2015 - Lewis Hamilton, Mercedes
2014 - Lewis Hamilton, Mercedes
2013 - Sebastian Vettel, Red Bull
스즈카 서킷 트랙 기록들

연습주행 결과
1차 연습주행 결과

2차 연습주행 결과

3차 연습주행 결과

일본 그랑프리 예선결과 (Qualifying Results)




■ 베르스타펜이 일본 그랑프리에서 폴포지션을 차지, 코로나 이후 열린 일본 그랑프리에서 4년 연속 폴포지션 획득을 기록했습니다. 베르스타펜은 레이스에서도 작년까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고 있는데 추월이 힘든 서킷인 만큼 이번 그랑프리에서 4년 연속 폴투윈 우승 기록할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 VCA_RB팀의 하자르는 지난 중국 그랑프리에 이어 다시 한번 Q3에 진출 예선 7위에 오르면서 중위권 팀들중에서 가장 잘하고 있는 모습니다.
■ 로슨과 팀을 서로 맞바꾼 후 자국 그랑프리에서 레드불 드라이버로 데뷔한 츠노다는 Q2에는 진출했으나 15위로 머무르고 말았고 반면에 VCA_RB팀으로 간 로슨의 14위로 츠노다 보다 한계단 높은 순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경기후 인터뷰

베르스타펜 (일본 GP 폴 포지션)
최대한 좋은 밸런스를 찾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쉽진 않았지만, 매 세션마다 조금씩 개선해 나갔는데 그게 차이를 만들었다. 마지막 랩은 그냥 전속력으로 밀어붙였고, 그만큼 엄청나게 보람찼다. 이제 내일을 바라보며 최선을 다할 것이다.
노리스 (예선 2위)
만족한다. 베르스타펜에게 축하를 보낸다. 그런 멋진 랩에는 모자를 벗어 경의를 표해야 할만큼 정말 잘했다. 나도 차에서 최대한을 끌어냈다고 느낀다. 아주 근소한 차이였지만, 베르스타펜은 정말 대단한 랩을 했다. 맥라렌 두 대가 모두 상위권에 있는 건 좋지만, 아직 충분하진 않다.
(Q3 첫 번째 랩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해)
7번 코너 출구에서 바퀴 하나가 살짝 벗어났다. 이런 작은 실수들이 랩 타임 손실로 이어진다는 걸 보여준다. [마지막] 랩은 정말 좋았어요. 다시 한 번 달린다고 해도 그만큼 빠르게는 못 달렸을 것 같다. 차의 한계까지 밀어붙였고, 오늘은 그 이상은 없었다.
(맥라렌이 내일 우승할 수 있을지에 대해)
그게 목표다. 하지만 내일 날씨가 어떻게 될진 아무도 모른다. 호주 그랑프리처럼 변수가 많은 레이스가 될 수도 있다. 흥미로운 레이스가 될 것으로 보며 베르스타펜을 추월하고 싶지만, 당연히 그도 쉽게 물러서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나도 그런 상황을 겪어봤기에 기대가 된다.
피아스트리 (예선 3위)
Q3 초반은 기분이 좋았다. 마지막 랩은 내가 원하는 대로 잘 풀리진 않았지만, 레이스에서 모든 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차는 훌륭하고, 페이스도 좋다. 하지만 다른 팀들이 생각보다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건 아니다. 오늘 아침도 꽤 박빙이었다. 베르스타펜이 폴을 잡은 건 잘했지만, 우리도 여전히 우승 경쟁에 있다고 본다. 비가 오든 안 오든 상관없다. 어떤 조건이든 환영이다.
하자르 (예선 7위)
(Q1에서의 안전벨트 문제 관련) Q1에서 그런 상황에서도 기록한 랩은 정말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3번 코너에서 문제가 있다는 걸 느꼈고, 실제로 거의 사고 날 뻔했다. 그래서 Q1 끝나고 바로 차에서 뛰어내렸다가 다시 탔다. 매 랩마다 밸런스를 조금씩 개선했다. 이 트랙은 느낌이 오는 순간 ‘조금 더 밀어붙이자’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냥 그게 잘 붙길 바라는 것이다. 100% 전력을 다했고, 한 단계 더 과감하게 밀어붙일 수 있었다.
2025시즌 전체 퀄리파잉 결과 (순서는 2024시즌 팀 성적순)
전반기
R01 | R02 | R03 | R04 | R05 | R06 | R07 | R08 | R09 | R10 | R11 | R12 | |
노리스 (4) | 1 | 3 | 2 | |||||||||
피아스트리(81) | 2 | 1 | 3 | |||||||||
르끌레르 (16) | 7 | 6 | 4 | |||||||||
해밀턴 (44) | 8 | 5 | 8 | |||||||||
베르스타펜 (1) | 3 | 4 | 1 | |||||||||
츠노다 (22) | 5 | 9 | 15 | |||||||||
러셀 (63) | 4 | 2 | 5 | |||||||||
안토넬리 (12) | 16 | 8 | 6 | |||||||||
알론소 (14) | 12 | 13 | 13 | |||||||||
스트롤 (18) | 13 | 14 | 20 | |||||||||
가슬리 (10) | 9 | 16 | 11 | |||||||||
잭 두한 (7) | 14 | 18 | 19 | |||||||||
오콘 (31) | 19 | 11 | 18 | |||||||||
베어만 (87) | 20 | 17 | 10 | |||||||||
로슨(30 | 18 | 20 | 14 | |||||||||
하자르 (6) | 11 | 7 | 7 | |||||||||
알본 (23) | 6 | 10 | 9 | |||||||||
사인츠 (55) | 10 | 15 | 12 | |||||||||
훌켄버그 (27) | 17 | 12 | 16 | |||||||||
보르톨레토 (5) | 15 | 19 | 17 |
■ 1,2라운드 성적이 좋지 않았던 레드불의 리암 로슨이 VCA_RB팀으로 가고 RB에 있던 유키 츠노다가 레드불로 올라가는 변경이 있었습니다.
퀄리파잉 여러가지 데이터(Telemetry)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공감♡버튼 살짝 눌러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F1 이야기 > F1 - 2025 시즌' 카테고리의 다른 글
F1.2025.R03 - 일본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F1 2025 Japan GP Race Results ) (0) | 2025.04.06 |
---|---|
F1.2025.R02 - 중국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F1 2025 China GP Race Results ) (1) | 2025.03.23 |
F1.2025.R02 - 중국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China GP Qualifying Results) (0) | 2025.03.22 |
F1.2025.R02 -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 레이스 결과 (F1 2025 China GP Sprint Results) (0) | 2025.03.22 |
F1.2025.R01 - 호주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F1 2025 Australia GP Race Results ) (2) | 2025.03.16 |
F1.2025.R01 - 호주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Austraria Qualifying Results) (2) | 2025.03.15 |
F1.2025 프리시즌 테스트 결과와 시즌 전체 경기 일정표 (1) | 2025.03.03 |
F1 2025시즌 각 팀별 새로운 레이스 차량과 드라이버, 테스트 일정 (1)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