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2025.R11 -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 F1 2025 Austria GP Race Results )

 

 

레드불 링 서킷 구조 

 


레드불 링은 Styrian 산으로 둘러싸인 작은 도시 Spielberg에 위치해 있으며 1969년에 지어진 꽤 오래된 서킷으로 지어질 당시에는 Österreichring(오스트리아 서킷)으로 불리었습니다. 

1970년 부터 1987년까지 18년동안 연속으로 오스트리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 Österreichring의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고 1995년과 1996년에 Hermann Tilke에 의해 새롭게 섹션이 많이 재거되면서 당시 트랙의 길이가 5.942km에서 4.326km로 단축되었습니다.

그후 1997년 부터 2003년까지는 A1-ring이라는 이름으로 오스트리아 그랑프리가 열렸으며 A1-ring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트랙의 구조 역시 상당히 많이 바뀌었는데 이때부터 현재의 트랙과 거의 유사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레드불이 이 서킷의 소유자가 되면서 이름도 자연스럽게 RedBull ring으로 바뀌었고 그후 약간의 수정을 거친후 2014년부터 다시 F1 그랑프리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름에서 보듯이 레드불의 홈 서킷으로 F1서킷중에서 가장 적은 10개의 코너로 이루어진 4.318km의 짧은 트랙으로 고속 서킷에 해당합니다. 비록 짧은 트랙이지만 63m정도의 고도차를 가지고 있고 특히 오르막과 내리막이 교차하는 지점에 코너들이 자리하고 있어 차량에 부담이 많이 가고 트랙션과 탑 스피드가 아주 중요합니다.

작년까지  3년 연속 스프린트가 열렸던 대회였으나 올해는 스프린트 경기가 없는 정규 포맷으로 경기가 열리게 됩니다.

작년 2024년 대회에서는 베르스타펜이 스프린트 우승과 폴포지션을 차지했지만 레이스에서는 메르데세스의 러셀이 우승을 가져갔고, 멕라렌의 피아스트리가 2위, 페라리의 사인츠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습니다.




이전 그랑프리 우승 드라이버
2024 - 러셀, Mercedes
2023 - 베르스타펜, Red Bull
2022 - 르끌레르, Ferrari
2021 - 베르스타펜, Red Bull (같은 해 같은 장소에서 열린 Styrian GP : 베르스타펜)
2020 - 보타스, Mercedes  (같은 해 같은 장소에서 열린 Styrian GP : 해밀턴)
2019 - 베르스타펜, Red Bull
2018 - 베르스타펜, Red Bull
2017 - 보타스, Mercedes
2016 - 해밀턴, Mercedes
2015 - 로즈버그, Mercedes
2014 - 로즈버그, Mercedes




 

 

 

스타팅 그리드(Starting Grid)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사용타이어 

 

사용 타이어 세트( C3 하드, C4 미디엄, C5 소프트)

 

 

 

드라이버별 남은 타이어 세트

 

 

 

피렐리 추천 타이어 교체 타이밍

 

 

 

 

랩별 레이스 전개 상황 

 

 



상위 10명중 가슬리만 소프트타이어, 그외 9명은 미디엄타이어를 장착하고 나왔으며 중하위권에는 소프트타이어를 선택한 드라이버가 꽤 됩니다.

사인츠가 포메이션 랩에서 출발하지 못해, 스타트가 취소되어 포메이션 랩부터 다시 시작되게 되었고, 사인츠는 차량은 움직이게 되어 트랙을 한 바퀴 돈 후 피트레인으로 들어갔는데 브레이크에 불이 나는 등 문제가 발생해 피트로 들어갔으나 결국 리타이어 했습니다.

스타트는  15분 연기되었고 레이스 랩은 1랩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START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추월하며 2위. 러셀 해밀턴 추월하며 4위. 안토넬리 휠락 걸리며 베르스타펜 차량에 부딪힘. 베르스타펜 스핀하며 리타이어안토넬리 리타이어.  해밀턴 러셀 추월하며 다시 4위.

LAP 2  세이프티카 발동.

LAP 3  세이프티카 엔딩.

LAP 4  콜라핀토 베어만 추월하며 11위. 러셀 해밀턴 추월시도했으나 해밀턴이 방어함.  

LAP 5  노리스 패스티스트 랩.  베어만 콜라핀토 추월하며 11위.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러셀 가슬리 알본 보르톨레토 로슨 알론소 베어만 콜라핀토

LAP 6  노리스 패스티스트 랩.  

LAP 7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LAP 8  노리스 패스티스트 랩.  

LAP 9  알본 가슬리 추월하며 6위. 

LAP 10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러셀 알본 가슬리 보르톨레토 로슨 알론소 베어만 콜라핀토


LAP 11  피아스트리 노리스 추월했으나 노리스가 재추월하면서 순위를 지킴.  

LAP 12  베어만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보르톨레토 가슬리 추월하며 7위. 

LAP 13  가슬리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5위로 복귀.   훌켄버그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LAP 14  알본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3위로 복귀.   콜라핀토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LAP 15  츠노다 스트롤 추월하며 11위.   

LAP 16  알본 피트스탑 차량문제로 리타이어.

LAP 19  러셀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1위로 복귀.  츠노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6위로 복귀.

LAP 20  스트롤 하자르 추월하며 9위. 오콘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6위로 복귀.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보르톨레토 로슨 알론소 스트롤 하자르 러셀 가슬리 베어만


LAP 21  노리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4위로 복귀. 

LAP 22  보르톨레토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3위로 복귀. 

LAP 23  보르톨레토 베어만 추월하며 12위.  

LAP 24  피아스트리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4위로 복귀. 

LAP 25  르끌레르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6위로 복귀.

LAP 26  러셀 하자르 추월하며 7위.  훌켄버그 스트롤 추월하며 10위.

LAP 27  해밀턴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7위로 복귀.  보르톨레토 스트롤 추월하며 11위.  스트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6위로 복귀. 

LAP 28  훌켄버그 사슬리 추월하며 9위. 보르톨레토 가슬리 추월하며 10위.  르끌레르 로슨 추월하며 3위.

LAP 29  해밀턴 알론소 추월하며 5위.  하자르 피트스탑 타이어로 교체후 15위로 복귀.  해밀턴 로슨 추월하며 4위.

LAP 30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로슨 알론소 러셀 보르톨레토 훌켄버그 가슬리 베어만 오콘


LAP 31  츠노다 콜라핀토 추월하는 과정에서 콜라핀토 차량에 부딪히며 콜라핀토 스핀.  츠노다 피트스탑 프론트윙 교체 후 16위로 복귀.

LAP 33  로슨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2위로 복귀.   오콘 가슬리 추월하며 9위.

LAP 34  츠노다 콜라핀토와의 충돌 책임으로 10초 패널티 나옴.  알론소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2위로 복귀. 

LAP 35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베어만 가슬리 추월하며 9위.

LAP 37  하자르 콜라핀토 추월하며 13위.

LAP 39  로슨 가슬리 추월하며 10위.  가슬리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5위로 복귀. 

LAP 40  베어만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3위로 복귀.  콜라핀토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6위로 복귀.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러셀 보르톨레토 훌켄버그 오콘 로슨 알론소 하자르 스트롤


LAP 43  훌켄버그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11위로 복귀. 

LAP 46  러셀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0위로 복귀. 

LAP 47  러셀 하자르 추월하며 9위.

LAP 49  베어만 스트롤 추월하며 12위. 

LAP 50  르끌레르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3위로 복귀. 보트롤레토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0위로 복귀.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해밀턴 르끌레르 오콘 로슨 알론소 러셀 하자르 훌켄버그 베어만 보르톨레토


LAP 51  해밀턴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4위로 복귀.  오콘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2위로 복귀. 

LAP 52  오콘 베어만 추월하며 11위.  

LAP 53  노리스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2위로 복귀.  해밀턴 패스티스트 랩.

LAP 54  피아스트리 피트스탑 미디엄타이어로 교체후 2위로 복귀. 노리스 선두.

LAP 55  콜라핀토 츠노다 추월하며 14위.

LAP 56  러셀 로슨 추월하며 5위.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LAP 57  보르톨레토 하자르 추월하며 8위.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콜라핀토 피아스트리를  트랙밖으로 밀어낸 책임으로 5초 패널티 나옴.

LAP 58  훌켄버그 하자르 추월하며 9위. 

LAP 59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오콘 하자르 추월하며 10위.

LAP 60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피아스트리 선두 노리스와의 격차 2.5초 이내로 접근
현재순위 노리스 피아스트리 르끌레르 해밀턴 러셀 로슨 알론소 보르톨레토 훌켄버그 오콘 하자르 베어만


LAP 61  피아스트리 노리스에게 2초 이내로 접근. 

LAP 62  츠노다 피트스탑 패널티 수행 후 16위로 복귀.

LAP 66  노리스와 피아스트리 계속 백마커를 만나면서 2초 이내에서 거리 유지 중.

LAP 67  베어만 하자르 추월하며 11위. 

LAP 69  보르톨레토 알론소 추월시도 했으나 알론소가 막아냄. 

FINAL LAP(70)  노리스 우승.  피아스트리 2위.  르끌레르 3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Race Results) 

 

 

 

 

 

 

 

 

 

 

 

 

■ 멕라렌의 노리스가 폴투윈으로 우승을 하며 시즌 3승째를 올렸고, 팀 동료인 피아스트리가 2위로 멕라렌이 원투 피니쉬를 차지했습니다. 노리스는 피아스트리와의 격차를 15포인트로 줄였고, 멕라렌은 2위인 페라리보다 거의 2배 가까운 압도적인 포인트 차이로 1위를 질주 하고 있습니다.

 

■ 페라리는 르끌레르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고, 해밀턴이 4위를 하면서 많은 포인트를 획득하며, 메르세데스를 추월해 팀 순위 2위에 올랐습니다. 페라리는 특히나 이번 그랑프리에서 멕라렌에는 조금 미치지 못했지만 두 드라이버 모두 레이스 페이스에서 메르세데스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이번 업데이트가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시즌 초반 최하위권에 있던 자우버는 보르톨레토가 8위, 훌켄버그가 9위로 더블 포인트에 성공하면서 중하위권의 순위 경쟁에 가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르톨레토는 F1 데뷔이후 첫 포인트 획득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보르톨레토는 레이스 막판 자신의 매니저 역활을 하고 있는 알론소와의 배틀을 보여주는 멋진 장면을 연출했습니다.

 

■ 레드불은 베르스타펜이 스타트에서 안토넬리와의 충돌로 리타이어했고, 츠노다가 살아남은 드라이버들중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하며 포인트 획득에 실패, 드라이버 챔피언십은 물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되었습니다. 

 

■ 반면 시즌 초반 잠깐 레드불의 드라이버였다가 RB팀으로 내려온 로슨은 6위를 기록하며 오늘 경기에서만은 레드불 패밀리 중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경기후 인터뷰 

 



노리스 (오스트리아 GP 우승)
정말 힘든 레이스였다. 전 구간 내내 밀어붙였다.  덥고, 피곤하고, 까다로웠지만 팀에게는 완벽한 결과였다. 원-투 피니시는 우리가 원하는 결과이고, 이번에도 해냈다. 정말 기쁘다.

(피아스트리와의 배틀에 대해)
정말 멋진 배틀이었다, 확실히! 엄청 재미있었다. 나에겐 스트레스였지만 재미있기도 했다. 좋은 승부였고, 피아스트리에게 박수를 보낸다. 팬분들이 보기에도 재미있었길 바란다. 하지만 차 안에서는 정말 힘들었다. 특히나 그가 DRS 안에 있을 때는 더욱 그랬다. 여기서는 DRS 효과가 아주 커기 때문에 그와의 격차를 벌리기가 정말 어려웠다. 한 번 DRS 범위에서 벗어나고 나서는 어느 정도 컨트롤할 수 있었지만, 그의 속도는 여전히 빨랐다.

 



피아스트리 (2위)
정말 치열했다. 관전하시기에 재미있으셨길 바란다. 차 안에선 정말 힘든 싸움이었고 전력을 다했다. 잠깐 앞에 섰을 때 조금 더 잘했을 수도 있겠지만, 좋은 배틀이었다. 때로는 약간 위험한 상황도 있었고, 조금은 한계선을 넘기도 했다. 그래도 좋은 레이스였다. 우리가 여기 있는 이유는 서로 경쟁하고, 우승을 위해 싸우기 위해서니까. 오늘 그걸 해냈다. 아주 아슬아슬했지만 아쉽게도 부족했다. 팀에게 감사드리고 싶다. 우리가 서로 싸우면서도 이런 페이스를 보여줬다는 게 인상적이었다. 지금의 이 차를 만들어준 팀에게 정말 감사드리고 싶다.

(노리스를 그렇게 바짝 추격한 것이 놀라웠냐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예선에서는 옐로 플래그 때문에 운이 나빴다. 하지만 이번 주말 내내 페이스는 좋았다. DRS 안에 있을 수만 있다면 괜찮다는 느낌이 있었다. 첫 번째 피트스톱 이후에 DRS 범위에서 벗어나고 나서는 따라잡기가 힘들어졌다. 더 잘할 수 있었던 부분이 있었는지 돌아봐야 할 것 같다.

 

 


르클레르 (3위)
이번 주말을 팀의 관점에서 보면 잘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페이스가 부족했다. 첫 코너에서 노리스를 노려볼까 했지만 그가 문을 닫았고, 그 틈을 타서 오스카가 들어왔다. 그들은 우리보다 너무 빨라서 2위를 지키기는 어려웠고, 결국 3위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오늘 한 모든 결정에 후회는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 단지 페이스가 부족했을 뿐이다.

(자신의 페이스에 대해)
첫 스틴트에서는 앞차들을 따라잡으려고 무리하게 밀어붙이다 보니 타이어가 더 빨리 닳았다. 뭐, 이런 것도 레이스의 일부다. 이번 주말에 업그레이드를 가져왔고, 분명히 도움이 되긴 했다. 어느 정도 발전은 있었지만, 맥라렌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계속해서 더 나아가야 한다. 솔직히 맥라렌은 너무 빠르다.

 

 

 

 

 

 

타이틀 순위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 순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타이틀 순위

 

 

 

 

F1 2025 시즌 전체 상황표 

 

Round  그랑프리 스프린트 우승  폴 포지션  우승  패스티스트 랩  우승팀
 1  호주 GP    노리스  노리스  노리스  멕라렌
 2  중국 GP  해밀턴  피아스트리  피아스트리  해밀턴  멕라렌
 3  일본 GP    베르스타펜  베르스타펜    안토넬리  레드불
 4  바레인 GP    피아스트리  피아스트리  피아스트리  멕라렌
 5  사우디아라비아 GP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노리스  멕라렌
 6  마이애미 GP  노리스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노리스  멕라렌
 7  애밀리아 로마냐 GP    피아스트리  베르스타펜  베르스타펜  레드불
 8  모나코 GP    노리스  노리스  러셀  멕라렌
 9  스페인 GP    피아스트리  피아스트리 피아스트리  멕라렌
 10  캐나다 GP    러셀  러셀  러셀  메르세데스
 11  오스트리아 GP    노리스  노리스  피아스트리  멕라렌
 12  영국 GP          
 13  벨기에 GP          
 14  헝가리 GP          
 15  네덜란드 GP          
 16  이탈리아 GP          
 17  아제르바이잔 GP          
 18  싱가포르 GP          
 19  미국(오스틴) GP          
 20  멕시코 GP          
 21  브라질 GP          
 22  라스베가스 GP          
 23  카타르 GP          
 24  아부다비 GP          

 

 

 

드라이버별 2025 시즌 성적표 (순서는 2024시즌 팀 순위)

전반기

  R01 R02  R03  R04  R05  R06  R07  R08  R09  R10  R11  R12
노리스 (4)  1  2  2  3  4  2  2  1  2  DNF  1  
피아스트리(81)  9  1  3  1  1  1  3  3  1  3  2  
르끌레르 (16)  8  DSQ  4  4  3  7  6  2  3  5  3  
해밀턴 (44)  10  DSQ  7  5  7  8  4  5  6  6  4  
베르스타펜 (1)  2  4  1  6  2  4  1  4  10  2 DNF  
츠노다 (22)  12  16  12  9  DNF  10  10  17  13  12  16  
러셀 (63)  3  3  5  2  5  3  7  11  4  1  5  
안토넬리 (12)  4  6  6  11  6  6 DNF   18  DNF  3  DNF  
알론소 (14)  DNF  DNF  11  15  11  15  11  DNF  9  7  7  
스트롤 (18)  6  9  20  17  16  16  15  15  NA  17  14  
가슬리 (10)  11 DSQ  13  7  DNF  13  13  DNF  8  15  13  
잭 두한 (7)  DNF  13  15  14  17  DNF            
콜라핀토              16  13  15  13  15  
오콘 (31)   13  5  18  8  14  12 DNF  7  16  9  10  
베어만 (87)  14  8  10  10  13  DNF  17  12  17  11  11  
로슨 (30)  DNF  12  17  16  12  DNF  14  8  11  DNF  6  
하자르 (6)  DNS  11  8  13  10  11  9  6  7  16  12  
알본 (23)  5  7  9  12  9  5  5  9  DNF  DNF  DNF  
사인츠 (55)  DNF  10  14  DNF  8  9  8  10  14  10  DNS  
훌켄버그 (27)  7  15  16  DSQ  15  14  12  16  5  8  9  
보르톨레토 (5)  DNF  14  19  18  18  DNF  18  14  12  14  8  

 

 2 라운드 중국 그랑프리에서 르끌레르와 가슬리는 최저 중량 미달로 실격, 해밀턴은 플랭크의 최소 두께(9mm)를 미치지 못해 실격.

■ 1,2라운드 성적이 좋지 않았던 레드불의 리암 로슨이 VCA_RB팀으로 가고  RB에 있던 유키 츠노다가 레드불로 가는 맞교환이 있었습니다.

 7라운드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부터 알핀의 잭 두한을 대신해 콜라핀토가 5경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레이스 여러가지 데이터(Telemetry)

 

 

 

 

 

 

 

 

 

 

 

 

 

 

 

 

 

 

 

다음 그랑프리는 7월 4일부터 7월 6일까지 실버스톤 서킷에서 열리는 영국 그랑프리 입니다.

 

F1.2025.R12 영국 그랑프리 세부일정 (한국시간)

 세션  시간
 첫번째 연습주행 (FP1)  7월 4일 오후 20:30 - 21:30
 두번째 연습주행 (FP2)  7월 4일 오후 24:00 - 25:00
 세번째 연습주행 (FP3)  7월 5일 오후 19:30 - 20:30
 예선 (Qualifying)  7월 5일 오후 23:00 - 24:00
 결승레이스 (Race)  7월 6일 오후 23:00 - 25:00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공감버튼 살짝 눌러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전화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