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100장면 - 91. 새로운 국제질서, 데탕트
-중화인민공화국, 유엔 가입(1971년)
*그때 우리 나라에서는
1973년/6, 23평화통일 외교정책 공표, 김대중 납치사건
1969년 7월 25일 미국의 닉슨 대통령은 태평양의 한 섬 괌에서 미국의 향후 아시아 정책을 밝힌 닉슨 독트린 을 발표했다.
그 주요 내용은 베트남 전쟁과 같은 미국의 직접적인 정치, 군사 개입의 회피, 해외주둔 미국의 단계적 철수, 동맹국의 자주국방 노력의 강화와 미국의 측면 지원, 강대국의 핵 위협을 제외한 내란이나 침략에 대한 아시아 각국의 협력 대처 등이다.
당시 미국은 과도한 해외군사비 지출과 베트남 전쟁 장기화로 인해 경제사정이 몹시 악화되어 있었다. 닉슨 독트린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자리잡은 냉전체제를 불식하고 데탕트라는 새로운 국제질서를 수립케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데탕트란 풀림, 휴식 을 뜻하는 프랑스 어이다. 미국과 소련을 두 정점으로 하는 팽팽한 긴장관계로부터 벗어난 국제적 해빙 무드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긴장완화 라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부상한 나라는 미국과 소련이었다. 미국은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을 경계하며 전후 국제질서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해왔다. 한반도를 북위 38도 선으로 갈라 미국과 소련이 각각 진주한 것도 소련에게 한반도를 송두리째 내줄 수 없다는 미국의 경계심 때문이었다.
그런데 중국에서 장개석이 패배하고, 거대한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가 되자 미국은 반공 히스테리에 걸렸다. 게다가 한국전쟁의 발발은 이를 더욱 심화시켰다.
1950년 2월, 위스콘신 주 출신의 공화당 상워느이원 매카시는 국무성에 205명의 공산주의자가 있다는 는 폭탄선언을 했다.
이때부터 미국의 극단적인 반공주의에 휩쓸리기 시작했다. 33개 주가 법률을 제정하여 교사, 교수들에게 충성서약을 하게 하고, 조금이라도 반공주의를 비판하는 책은 불살라졌다.
공무원과 방위산업체 근로자들은 익명의 투서나 밀고에 의해 하루아침에 공산주의자로 낙인찍힐까 봐 전전긍긍했으며, 언론은 비판의 자유를 봉쇄당하고 대학은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빼앗겼다.
트루먼 전대통령이 러시아 간첩은 은닉했다는 혐의로 고발되었고, 심지어 루스벨트 아이젠하워, 케네디까지 공산주의자라는 비난을 받았다.
극단적인 흑백논리에 의한 빨갱이 사냥 이 도처에서 일어났다. 이웃이 적이나 간첩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살피도록 명령받을 때 그 사회는 이미 와해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라는 양식 있는 사람들의 경고는 무시되었다.
50년대를 휘어잡은 이 반공주의 선풍을 상원의원 매카시의이름을 따서 매카시즘이라고 부른다. 미국으 세계의 경찰로 자부하면서 공산주의와 관계있다고 생각되면 자유세게의 방위를 위해서 어디든지 개입했다.
자연 미국과 소련은 세계 곳곳에서 부딪치게 되었고, 세계는 미국을 대표로 하는 자본주의권과 소련을 대표로 하는 공산주의권으로 양분되어 날카로운 대립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미국의 정치평론가 리프맨은 뉴욕 트리뷴 지에 이같은 상황을 해설한 기사를 기고했다. 그는 기사 제목을 냉전 이라 붙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열전이라면 거기까지 이르지는 않지만 그에 못지 않은 전쟁이란 의미이다.
이후 냉전이란 말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50년대와 60년대를 풍미한 매카시즘과 냉전체제는 7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소련 수상 흐루시초프가 평화공존 정책과 함께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을 만나고 1962년 10월 쿠바 위기를 무사히 넘기면서 데탕트 분위기가 고조되기 시작했다.
1970년 11월 21일 유엔 총회에서는 중국 대표권 문제가 표결에 붙여져 중공초청, 대만 추방 의 알바니아 안이 찬성 51, 반대 49로 과반수를 얻었다.
이듬해 4월 10일에는 미국의 탁구 팀이 처음으로 중국 북경을 방문했다. 한편 1971년 10월 25일 유엔 총회 본회의는 중국 초청안을 찬성 76, 반대 35, 결석 3으로 가결시켰다. 중국은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되었으며, 이어 대반은 유엔을 탈퇴했다.
1972년 2월 21일 마침내 미국의 닉슨 대통령은 북경으로 날아가 모택동 주석, 주은래 수상과 회담하고 평화 5원칙을 발표했다.
그해 5월 닉슨 또 소련을 방문, 브레즈네프 서기장과 회담을 갖고 전략무기 제한협정을 체결했다. 두 나라 사이에 군축협정이 맺어짐에 따라 비로소 데탕트가 제도화되었다.
그렇지만 지상에서 전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미, 소 두 나라가 직접 충돌하지 않는 대신 제3세계에서는 끊임없는 국지전이 발생했다. 이는 사실상 미,소 양국의 대리전이었다.
70년대는 화해의 시대였다. 그러나 1979년 12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함으로써 데탕트 체제는 막을 내렸다. 그후 81년 미국 대통령이 된 레이건은 대소강경책으로 전환, 국제질서는 신냉전체제로 바뀌게 되었다.
'알쓸신잡 > 세계사 100장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100장면 - 95. 루마니아, 차우세스쿠 대통령 처형(1989년). 루마니아 영웅에서 독재자로 (0) | 2020.04.20 |
---|---|
세계사 100장면 - 94.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개시(1986년). 새롭게 펼쳐지는 팍스 아메리카나. (0) | 2020.03.29 |
세계사 100장면 - 93.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 추진(1986년) (0) | 2020.03.17 |
세계사 100장면 - 92. 제1차 석유파동 발생(1973년). 세계를 뒤흔든 아랍의 자원민족주의 (0) | 2020.03.10 |
세계사 100장면 - 90. 베트남 전쟁 종결(1975년). 상처입은 거인 (0) | 2020.02.24 |
세계사 100장면 - 89. 아폴로 11호, 달 착륙(1969년). 우주시대의 개막 (0) | 2020.02.23 |
세계사 100장면 - 88. 제3차 중동전쟁 발발(1967년). 아랍의 바다에 둘러싸인 유태인 섬 (0) | 2020.02.21 |
세계사 100장면 - 87. 제1차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개최(1955년), 떠오르는 제3세계 (0) | 202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