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2025.R07 -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F1 2025 Emilia-Romagna GP Race Results )
F1 이야기/F1 - 2025 시즌 2025. 5. 18. 21:10
F1.2025.R07 -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 F1 2025 Emilia-Romagna GP Race Results )
이몰라 서킷 구조
이몰라 서킷은 1953년에 개장했으며 F1이 처음으로 열린해는 1980년입니다. 그후 2006년까지 F1 열린 후 14년만인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다른 중지된 그랑프리를 대신해 수정된 캘린더에 들어오게 되었고 작년에 이어 올해도 그랑프리가 개최되게 되었습니다.
이몰라 서킷은 F1서킷중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달리는 몇 안되는 서킷 중 하나이며 공식적인 이름은 페라리의 설립자 Enzo Ferrari 와 그의 아들 Alfredo Ferrari 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나 이몰라 서킷으로 더 유명합니다. 공식 명칭은 Autodromo Internazionale Enzo e Dino Ferrari 입니다.
19개의 코너로 이루어진 4.909 km의 이 서킷은 1994년 아일톤 세나가 사고로 죽은 곳이며 세나가 죽기 하루전 열린 예선에서 Roland Ratzenberger도 Villeneuve 코너에서 고속 충돌 사고로 인해 사망했습니다.
2006년까지 F1 그랑프리가 열리던 때에는 대회 이름이 산 마리노 그랑프리였습니다. 같은 이탈리아의 몬짜 서킷에서 열리는 그랑프리가 이탈리아 그랑프리였고 같은 이름으로 열릴수 없기 때문에 '산마리노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열렸습니다. 이 이름은 이 서킷이 위치한 이탈리아의 주 이름에서 가져왔습니다. F1 그랑프리가 이몰라 서킷에서 열리게 되면 서킷 이름에서 보듯 이 그랑프리가 사실상 페라리의 홈 그랑프리로 인식됩니다.
2023년에는 이탈리아의 이몰라와 에밀리아-로마냐 지방에 내린 엄청난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이 홍수로 인해 이 지방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을 뿐 아니라 이몰라 서킷도 침수되는 상황이었고 결국 대회는 취소 되었었습니다.
작년 2024년 대회에서는 베르스타펜이 폴포지션과 우승을 차지했고, 노리스가 2위, 르끌레르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었습니다.
최근 그랑프리 우승 드라이버
2024 - 베르스타펜, Red Bull
2022 - 베르스타펜, Red Bull
2021 - 베르스타펜, Red Bull
2020 - 해밀턴, Mercedes
2006 - M.슈마허, Ferrari
2005 - 알론소, Renault
2004 - M.슈마허, Ferrari
2003 - M.슈마허, Ferrari
2002 - M.슈마허, Ferrari
2001 - 랄프 슈마허, Williams
2000 - M.슈마허, Ferrari
스타팅 그리드(Starting Grid)
베어만은 하루전 있었던 예선 Q1에서 레드플랙 이후 리스타트 타임이 공식적으로 확인되기 전에 패스트 레인에 진입하 것이 확인되어 1그리드 패널티를 받았습니다.
퀄리파잉에서 큰 사고로 차량이 대파되었던 레드불의 츠노다는 파워유닛 교체로 인해 피트레인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사용타이어
사용 타이어 세트( C4 하드◎, C5 미디엄◎, C6 소프트◎ )
드라이버별 남은 타이어 세트
피렐리 추천 타이어 교체 타이밍
F1 역사상 처음으로 C6(소프트) 타이어가 사용되는 대회입니다. 기존의 C5 소프트타이어 보다 더 부드러운 타이어인데 예선에서 C6타이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좋은 기록을 내지 못한 드라이버들이 많았습니다.
랩별 레이스 전개 상황
상위 10명은 모두 미디엄타이어를 장착하고 나왔습니다. 하위권에서는 5명이 하드타이어를 장착했습니다.
START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추월하며 선두. 르끌레르 10위로 한계단 상승. 하자르 11위로 2계단 상승. 해밀턴 13위로 한계단 하락. 큰 사고 없이 첫 랩을 모두 주행.
LAP 2 오콘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로 20위로 복귀.
LAP 3 베르스타펜 패스티스트 랩. 9위로 달리던 가슬리 트랙을 벗어나면서 14위로 밀림.
LAP 4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러셀 노리스 알론소 사인츠 알본 스트롤 르끌레르 하자르 안토넬리 해밀턴
LAP 6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LAP 7 베르스타펜 패스티스트 랩.
LAP 8 베르스타펜 -1.7초- 피아스트리 -2.9초- 러셀 -0.4초- 노리스
LAP 10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러셀 노리스 알론소 사인츠 알본 스트롤 르끌레르 하자르 안토넬리 해밀턴
LAP 11 노리스 러셀 추월하며 3위. 르끌레르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로슨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20위로 복귀.
LAP 12 러셀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6위로 복귀. 사인츠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LAP 13 알론소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5위로 복귀. 보르톨레토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20위로 복귀.
LAP 14 르끌레르 패스티스트 랩. 피아스트리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2위로 복귀.
LAP 15 스트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7위로 복귀.
LAP 16 로슨 보트롤레트 추월하며 18위.
LAP 18 피아스트리 츠노다 추월하며 10위.
LAP 19 피아스트리 베어만 추월하며 9위.
LAP 20 피아스트리 콜라핀토 추월하며 8위.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노리스 알본 하자르 안토넬리 해밀턴 훌켄버그 피아스트리 콜라핀토 베어만 츠노다 르끌레르
LAP 21 르끌레르 츠노다 추월하며 11위. 피아스트리 훌켄버그 추월하며 7위.
LAP 23 콜라핀토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20위로 복귀. 르끌레르 베어만 추월하며 9위.
LAP 25 러셀 츠노다 추월하며 11위.
LAP 26 피아스트리 해밀턴 추월하며 6위.
LAP 27 피아스트리 안토넬리 추월하며 5위.
LAP 28 피아스트리 하자르 추월하며 4위.
LAP 29 노리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7위로 복귀. 오콘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여 트랙밖에 새우고 리타이어.
버추얼 세이프티카 발동. 베르스타펜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위로 복귀.
LAP 30 많은 드라이버들이 피트스탑을 하며 순위가 많은 변동을 일으킴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노리스 알본 하자르 안토넬리 해밀턴 알론소 스트롤 르끌레르 훌켄버그 러셀
LAP 31 피아스트리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4위로 복귀. 버추얼 세이프티카 엔딩.
LAP 32 베어만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9위로 복귀.
LAP 33 베르스타펜 패스티스트 랩. 노리스 패스티스트 랩. 러셀 훌켄버그 추월하며 11위. 사인츠 츠노다 추월하며 13위.
LAP 34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해밀턴 안토넬리 추월하며 6위.
LAP 35 해밀턴 패스티스트 랩. 러셀 스트롤 추월하며 10위.
LAP 36 해밀턴 하자르 추월하며 5위. 러셀 알론소 추월하며 9위.
LAP 38 르끌레르 안토넬리 추월하며 7위.
LAP 39 훌켄버그 알론소 추월하며 10위. 츠노다 스트롤 추월하며 13위.
LAP 40 피아스트리 알본 추월하며 3위. 사인츠 알론소 추월하며 11위.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노리스 피아스트리 알본 해밀턴 하자르 르끌레르 안토넬리 러셀 훌켄버그 사인츠 알론소
LAP 41 르끌레르 하자르 추월하며 6위. 피아스트리 패스티스트 랩.
LAP 42 사인츠 훌켄버그 추월하며 10위. 츠노다 알론소 추월하며 12위.
LAP 43 가슬리 콜라핀토와 팀 오더로 스왑하며 15위.
LAP 46 안토넬리 차량문제로 트랙밖에 차량을 세우고 리타이어. 세이프티카 발동
LAP 47 베르스타펜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1위로 복귀. 노리스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3위로 복귀. 해밀턴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7위로 복귀. 하자르 피트스탑 하드 타이어로 교체후 9위로 복귀. 알론소, 콜라핀토, 보르톨레토, 스트롤 동시에 피트스탑 타이어 교체.
LAP 48 알본 피트스탑 하드타이어로 교체후 5위로 복귀.
LAP 50 현재순위 베르스타펜 피아스트리 노리스 르끌레르 알본 러셀 해밀턴 사인츠 하자르 훌켄버그 츠노다 가슬리
LAP 53 세이프티카 엔딩.
LAP 54 츠노다 훌켄버그 추월하며 10위.
LAP 55 베르스타펜 패스티스트 랩.
LAP 57 해밀턴 러셀 추월하며 6위.
LAP 58 노리스 피아스트리 추월하며 2위. 베어만 보르톨레토 추월하며 17위.
LAP 59 베르스타펜 패스티스트 랩.
LAP 60 알본 르끌레르 추월하는 과정에서 트랙밖으로 밀려나면서 뒤에서 오던 해밀턴에게 추월당함. 해밀턴 5위.
LAP 61 해밀턴 추월하며 4위.
FINAL LAP(63) 알본 르끌레르 추월하며 5위. 베르스타펜 우승. 노리스 2위. 피아스트리 3위.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레이스 결과 (Race Results)
■ 레드불의 베르스타펜이 스타트에서 피아스트리를 추월하며 잡은 후 버추얼 세이프티카 상황까지 도움을 받아 무난하게 우승하며, 시즌 2승째이자, 개인 통산 65번째 우승 차지했습니다. 레드불은 이 경기로 f1 참전후 400번째 레이스를 하게 되었습니다.
■ 하루전날 있었던 예선에서 아주 안좋았던 페라리는 레이스에서 4위와 6위를 기록하며 예선에서의 부진을 만회하며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는 멕라렌을 제외하고, 2위싸움을 벌이고 있는 메르세데스와의 격차를 많이 좁혔습니다. 레드불 또한 현재 3위로 3팀의 2위 경쟁이 치열할 것 같습니다.
■ 이번 시즌 본 레이스, 스프린트 모든 경기에서 5위 안에 들었던 메르세데스의 러셀은 7위에 머무르면서 이 기록은 깨지고 말았으며, 전 경기 완주했던 안토넬리는 차량문제로 리타이어 하면서 아쉬운 경기가 되고 말았습니다.
■ 작년까지 포인트권 진입도 힘겨워 하던 윌리엄스는 점점 차량이 점점 좋아지면서 중위권에서는 완전히 앞서나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알본은 이번 경기에서 몇랩을 남겨두고 3위 자리를 지키는 상황까지 보여주며 5위에 올랐고, 사인츠가 8위를 차지하며 더블 포인트를 획득했습니다.
경기후 인터뷰
베르스타펜 (에밀리아-로마냐 GP 우승)
스타트 자체는 그렇게 좋지는 않았지만, 내가 바깥쪽 라인, 즉 정상적인 주행 라인에 있었기 때문에 '한번 바깥쪽으로 과감하게 찔러보자'라고 생각했고, 그게 정말 잘 먹혔다. 그걸로 우리의 페이스가 완전히 펼쳐졌다. 선두에 있을 때는 차 상태가 아주 좋았고, 타이어 관리도 잘할 수 있었다. 금요일과 비교하면 엄청난 개선이 있었고, 그 점이 정말 만족스럽다. VSC(가상 세이프티카) 타이밍도 피트인하기에 아주 좋았다.
하드 컴파운드 타이어로도 여전히 강한 페이스를 보여줬지만, 세이프티카가 나오면서 다시 모든 차들이 한 데 뭉쳤다. 그래도 리스타트 후에는 모든 걸 잘 관리해서 무사히 우승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모든 팀원들이 자랑스럽다.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한 주였고, 차도 매우 잘 달려줬다. 그리고 오늘 경기 전반에 걸친 운영 – 언제 피트인을 할지, 그리고 피트스탑 자체 – 모두 아주 훌륭했다고 생각한다.
노리스 (2위)
긴 레이스였어요. 추월이 쉽지 않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다 했다. 베르스타펜이 좋은 경기를 했고, 우리는 따라잡을 수 없었다.마지막엔 피아스트리와 좋은 배틀이 있었고, 긴장감 넘쳤지만 항상 즐거운 싸움이었다. 전체적으로 좋은 레이스였고, 우리 팀 입장에서는 2위와 3위를 차지한 건 훌륭한 결과다. 물론 베르스타펜과 싸우면서 우승을 노리고 싶었지만, 오늘은 그들이 우리보다 한 수 위였다.
피아스트리 (3위)
(맥스 페르스타펜이 첫 랩에서 추월한 장면에 대해)
내가 너무 일찍 브레이크를 밟았다. 더불어 베르스타펜의 움직임도 좋았다. 실망스럽긴 하지만, 이후에도 몇 가지 판단 미스가 있었기 때문에 어차피 어려운 경기였다. 일요일 경기로는 최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돌아보고 개선할 부분이 많다. 베르스타펜과 레드불에게 축하를 전한다. 좋은 움직임이었고 오늘 그들은 속도가 있었다. VSC 타이밍도 베르스타펜과 노리스에게는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 나는 하드 타이어를 두 세트 다 써버려서 마지막 리스타트가 꽤 힘들었다. 2위를 지키려고 최선을 다했지만, 그립이 부족했다.
(노리스에게 추월당한 장면에 대해)
끝까지 버티려고 노력했지만, 그립이 부족했다. 끝까지 싸워보려 했지만, 그가 추월하는 건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래도 쉽게 넘겨주진 않았다.
챔피언십 타이틀 순위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 순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타이틀 순위
F1 2025 시즌 전체 상황표
Round | 그랑프리 | 스프린트 우승 | 폴 포지션 | 우승 | 패스티스트 랩 | 우승팀 |
1 | 호주 GP | 노리스 | 노리스 | 노리스 | 멕라렌 | |
2 | 중국 GP | 해밀턴 | 피아스트리 | 피아스트리 | 해밀턴 | 멕라렌 |
3 | 일본 GP | 베르스타펜 | 베르스타펜 | 안토넬리 | 레드불 | |
4 | 바레인 GP | 피아스트리 | 피아스트리 | 피아스트리 | 멕라렌 | |
5 | 사우디아라비아 GP | 베르스타펜 | 피아스트리 | 노리스 | 멕라렌 | |
6 | 마이애미 GP | 노리스 | 베르스타펜 | 피아스트리 | 노리스 | 멕라렌 |
7 | 애밀리아 로마냐 GP | 피아스트리 | 베르스타펜 | 베르스타펜 | 레드불 | |
8 | 모나코 GP | |||||
9 | 스페인 GP | |||||
10 | 캐나다 GP | |||||
11 | 오스트리아 GP | |||||
12 | 영국 GP | |||||
13 | 벨기에 GP | |||||
14 | 헝가리 GP | |||||
15 | 네덜란드 GP | |||||
16 | 이탈리아 GP | |||||
17 | 아제르바이잔 GP | |||||
18 | 싱가포르 GP | |||||
19 | 미국(오스틴) GP | |||||
20 | 멕시코 GP | |||||
21 | 브라질 GP | |||||
22 | 라스베가스 GP | |||||
23 | 카타르 GP | |||||
24 | 아부다비 GP |
드라이버별 2025 시즌 성적표 (순서는 2024시즌 팀 순위)
전반기
R01 | R02 | R03 | R04 | R05 | R06 | R07 | R08 | R09 | R10 | R11 | R12 | |
노리스 (4) | 1 | 2 | 2 | 3 | 4 | 2 | 2 | |||||
피아스트리(81) | 9 | 1 | 3 | 1 | 1 | 1 | 3 | |||||
르끌레르 (16) | 8 | DSQ | 4 | 4 | 3 | 7 | 6 | |||||
해밀턴 (44) | 10 | DSQ | 7 | 5 | 7 | 8 | 4 | |||||
베르스타펜 (1) | 2 | 4 | 1 | 6 | 2 | 4 | 1 | |||||
츠노다 (22) | 12 | 16 | 12 | 9 | DNF | 10 | 10 | |||||
러셀 (63) | 3 | 3 | 5 | 2 | 5 | 3 | 7 | |||||
안토넬리 (12) | 4 | 6 | 6 | 11 | 6 | 6 | DNF | |||||
알론소 (14) | DNF | DNF | 11 | 15 | 11 | 15 | 11 | |||||
스트롤 (18) | 6 | 9 | 20 | 17 | 16 | 16 | 15 | |||||
가슬리 (10) | 11 | DSQ | 13 | 7 | DNF | 13 | 13 | |||||
잭 두한 (7) | DNF | 13 | 15 | 14 | 17 | DNF | ||||||
콜라핀토 | 16 | |||||||||||
오콘 (31) | 13 | 5 | 18 | 8 | 14 | 12 | DNF | |||||
베어만 (87) | 14 | 8 | 10 | 10 | 13 | DNF | 17 | |||||
로슨 (30) | DNF | 12 | 17 | 16 | 12 | DNF | 14 | |||||
하자르 (6) | DNS | 11 | 8 | 13 | 10 | 11 | 9 | |||||
알본 (23) | 5 | 7 | 9 | 12 | 9 | 5 | 5 | |||||
사인츠 (55) | DNF | 10 | 14 | DNF | 8 | 9 | 8 | |||||
훌켄버그 (27) | 7 | 15 | 16 | DSQ | 15 | 14 | 12 | |||||
보르톨레토 (5) | DNF | 14 | 19 | 18 | 18 | DNF | 18 |
■ 2 라운드 중국 그랑프리에서 르끌레르와 가슬리는 최저 중량 미달로 실격, 해밀턴은 플랭크의 최소 두께(9mm)를 미치지 못해 실격.
■ 1,2라운드 성적이 좋지 않았던 레드불의 리암 로슨이 VCA_RB팀으로 가고 RB에 있던 유키 츠노다가 레드불로 가는 맞교환이 있었습니다.
■ 7라운드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부터 알핀의 잭 두한을 대신해 콜라핀토가 5경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퀄리파잉 여러가지 데이터(Telemetry)
다음 그랑프리는 5월 23일부터 5월 25일까지 몬테카를로 서킷에서 열리는 모나코 그랑프리 입니다.
F1.2025.R08 모나코 그랑프리 세부일정 (한국시간)
세션 | 시간 |
첫번째 연습주행 (FP1) | 5월 23일 오후 20:30 - 21:30 |
두번째 연습주행 (FP2) | 5월 23일 오후 24:00 - 25:00 |
세번째 연습주행 (FP3) | 5월 24일 오후 19:30 - 20:30 |
예선 (Qualifying) | 5월 24일 오후 23:00 - 24:00 |
결승레이스 (Race) | 5월 25일 오후 22:00 - 24:00 |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공감♡버튼 살짝 눌러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