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2025.R17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Azerbaijan GP Qualifying Results)
F1 이야기/F1 - 2025 시즌 2025. 9. 20. 19:41
F1.2025.R17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예선 결과
(F1 2025 Azerbaijan GP Qualifying Results)
바쿠 서킷 구조
바쿠 시티 서킷(Baku City Circuit)은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 도심을 배경으로 한 포뮬러 원(Formula 1) 시가지 서킷으로 2016년 유럽 그랑프리(European Grand Prix) 개최를 위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2017년부터는 정식으로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Azerbaijan Grand Prix)”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서킷은 반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20개의 코너와 6.003km의 긴 트랙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F1 서킷중에서 벨기에의 스파,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 서킷에 이어 세번째로 긴 서킷이며 도시 특유의 독특한 풍경, 고대 성곽과 현대적인 고층 건물이 혼재한 배경, 초고속 직선 구간과 테크니컬한 구간이 결합된 점에서 ‘시가지 서킷 중에서도 가장 이색적인 트랙’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서킷이 위치한 바쿠는 아제르바이잔의 동쪽 카스피 해에 있는 작은 반도에 위치해 있으며 2016년에는 유럽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개최 되었으며 이듬해인 2017년부터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로 명명되어 열리게 되었습니다.
아주 긴 메인 스트레이트 구간은 슬립스트림을 타고 추월할 수 있는 가장 좋은곳으로 정평이 나있으며 더불어 퀄리파잉에서 팀 동료에게 슬립스트림을 주기위해 토잉을 해주는 것으로도 유명한 구간입니다.
모나코 서킷과 마찬가지로 시가지 서킷이기 때문에 트랙이 좁고 대부분의 코너가 직각에 가까우면서 구불구불할 정도로 많고 트랙 바깥은 거의가 방호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소한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 트랙입니다.
19번 코너를 지나 1번코너까지 긴 직선구간에서는 최대 360km/h 넘는 속도를 낼 수 있으나 1번코너에서 휠락이 걸리는 경우가 많으며 추월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작년 대회에서 페라리의 르끌레르는 2024년 대회까지 4년연속 폴포지션을 차지했으나 레이스에서는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고 맥라렌의 피아스트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르끌레르가 2위, 러셀이 3위로 포디움에 올랐었습니다.
서킷 정보
위치 : 아제르바이잔, 바쿠 시내 중심가
개장 : 2016년
디자이너 : 헤르만 틸케(Hermann Tilke)
길이 : 약 6.003 km
코너 수 : 20개
랩 수 : F1 기준 51랩 (총 거리 약 306.049 km)
레이아웃 특징 :
■ 벨기에의 스파-프랑코샹,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 서킷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서킷.
■ 피트 스트레이트와 이어지는 약 2.2km 직선 구간은 시가지 서킷 중 최장 직선이며, F1 최고 속도를 기록하는 구간으로 유명.
■ 성벽 주변의 8번~12번 코너(특히 8번 코너)는 폭이 약 7.6m로, F1 캘린더 중 가장 좁은 코너 구간으로 악명 높습니다.
■ 긴 직선으로 인한 고속 구간과, 90도 직각 코너가 반복되는 테크니컬 구간이 함께 존재.
서킷의 특징
속도와 기술의 공존
바쿠는 시가지 서킷이면서도 평균 시속이 매우 높다. 긴 직선 구간 덕분에 카들이 360km/h 이상의 속도를 내며, 이는 전통적 시가지 서킷(모나코, 싱가포르 등)과 비교했을 때 매우 이례적입니다.
초협소 구간
바쿠 성곽 옆을 지나는 8번 코너는 폭이 매우 좁아 단 한 대의 차량만 통과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 실수하면 그대로 벽과 충돌하거나 교통 체증을 일으키며, 실제로 예선에서 많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극적인 레이스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는 ‘안 일어날 것 같은 일이 꼭 일어나는 레이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이어 파손, 빈번한 세이프티카 출동, 드라마틱한 역전극이 매년 이어지며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서킷의 역사
2014년 : 아제르바이잔 정부와 F1 주최측이 계약 체결.
2016년 : 첫 대회 개최. 이때는 "유럽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치러졌으며, 니코 로즈베르그가 우승했습니다.
2017년 이후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라는 독자적인 이름으로 개최. 세바스찬 베텔과 루이스 해밀턴의 접촉 사건, 다수의 사고와 드라마틱한 레이스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0년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
2021년 : 레드불의 페레스가 혼돈의 레이스에서 우승. 베르스타펜의 타이어 펑처와 해밀턴의 브레이크 실수로 극적인 결말
현재까지도 ‘예측 불가능한 레이스’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매 시즌 가장 많은 변수와 사건이 발생하는 서킷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주요 사건
2017년 : 베텔-해밀턴 충돌 사건. 베텔이 해밀턴에게 고의 충돌을 가해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2018년 : 레드불 팀 동료인 리카르도와 베르스타펜의 충돌했고 이 사고로 두 차 모두 리타이어하며 팀 내부 긴장 고조.
2021년 : 베르스타펜이 우승권 주행 중 타이어 펑처로 리타이어, 이어진 재시작에서 해밀턴이 브레이크 실수로 순위를 잃고 페레즈가 우승.
이전 그랑프리 폴포지션 드라이버
2024년 : 르끌레르, Ferrari
2023년 : 르끌레르, Ferrari
2022년 : 르끌레르, Ferrari
2021년 : 르끌레르, Ferrari
2019년 : 보타스, Mercedes
2018년 : 베텔, Ferrari
2017년 : 해밀턴, Mercedes
최다 우승 드라이버
페레즈 : 2회 우승 (2021, 2023)
베르스타펜 : 1회 우승 (2022)
보타스 : 1회 우승 (2019)
해밀턴 : 1회 우승 (2018)
리카르도 : 1회 우승 (2017)
로즈버그 : 1회 우승 (2016)
최다 우승 팀
레드불 : 4회 우승 (2017, 2021, 2022, 2023)
메르세데스 : : 3회 우승 (2016, 2018, 2019)
맥라렌 : 1회 우승 (2024)
이전 그랑프리 우승 드라이버
2024년 : 피아스트리, Mclaren
2023년 : 페르즈, Red Bull
2022년 : 베르스타펜, Red Bull
2021년 : 페르즈, Red Bull
2019년 : 보타스, Mercedes
2018년 : 해밀턴, Mercedes
2017년 : 리카르도, Red Bull
2016년 : 로스버그, Mercedes
바쿠 서킷 기록들
연습주행 결과
1차 연습주행 결과
2차 연습주행 결과
3차 연습주행 결과
그랑프리 예선결과 (Qualifying Results)
■ 혼돈의 퀄리파잉에서 베르스타펜이 폴포지션을 차지하며 2경기 연속 폴을 가져갔습니다. 이번 시즌 2연속 폴을 획득한 선수는 베르스타펜 뿐이다. 시즌 2번째 2연속 폴포지션 획득입니다.
■ 오늘 있었던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예선에서는 무려 6번의 레드 플래그가 나왔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많은 레드 플래그가 나온 경기가 되었습니다. 이전까지 최다 레드 플래그는 2022년 에밀리아-로마냐, 2024년 브라질 그랑프리로 두 경기 모두 5번의 레드 플래그가 나온적이 있었습니다.
■ 윌리엄스의 사인츠는 2위로 윌리엄스의 이번 시즌 최고 그리드를 차지했습니다. 사인츠는 베르스타펜이 막판 폴을 가져가기 직전까지 잠정 폴포지션을 가지고 있었는데 만약 폴포지션을 가져갔더라면 2014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펠리페 마싸가 차지한 폴포지션 이후 11년만에 나올뻔 했습니다.
■ RB팀의 리암 로슨 역시 자신의 시즌 최고성적인 3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RB팀으로도 이번 시즌 최고의 예선 성적입니다.
■ 연습주행과 예선 Q1 까지 좋은 기록을 내고 있었던 페라리는 불운하게도 해밀턴이 Q2에서 탈락하고 르끌레르가 Q3에서 사고가 나면서 10위와 12위에 머물면서 기분좋게 시작했던 주말이 엉망이 되고 말았습니다.
■ 언제나 1, 2위 후보인 맥라렌의 두 드라이버 역시 오늘은 그렇게 운지 좋지 않았습니다. 피아스트리가 사고로 9위에, 노리스가 썩 좋은 기록을 내 못하며 7위에 머물었습니다. 맥라렌의 피아스트리는 이번 시즌 예선에서 단 한번의 4위와 그외 모두 3위 이내로 들고 있었는데 오늘 사고로 9위에 그치면서 연속 TOP 4 진입 기록이 멈추었습니다.
■ 다른 서킷들보다 추월이 쉬운 바쿠 서킷인데다가 상위권 팀의 드라이버들이 중위권에 많이 몰려있기때문에 레이스에서는 많은 추월이 나올것으로 예상되며 이 과정에서 사고가 나거나 세이프티카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 Q1에서 18위로 탈락했던 하스의 오콘은 기술 위반으로 실격 처리 되었습니다. 예선 세션 끝난후 차량 점검 중 오콘 차량의 뒷 날개에서 측정된 편향 수치는 FIA 기술 규정에서 허용된 수치인 0.5mm를 초과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경기후 인터뷰
막스 베르스타펜 (아제르바이잔 GP 폴 포지션)
레드 플래그가 너무 많아서 정말 긴 예선이었다. 그래서 제대로 된 랩을 만들어내기가 굉장히 힘들었다. 타이어가 준비가 안 됐거나, 막상 준비가 되면 또 레드 플래그가 나왔다. 특히 Q3는 비도 조금 내려서 아주 어려운 세션이었다. 마지막 랩에서는 그냥 ‘밀어붙여야 한다(send it)’는 마음으로 달렸다. 사실 제가 원했던 최상의 타이어 상태도 아니었다. 레드 플래그가 너무 많다 보니 쓸 수 있는 타이어가 거의 다 떨어졌었다.
그래도 주말이 지금까지는 아주 만족스럽다. FP1 때부터 나쁘지 않았고, 계속해서 조금씩 개선해 나가다가 결국 예선에서 결과를 냈으니까. (날씨와 관계없이) 폴을 노릴 수 있다는 자신감은 있었다. 물론 Q3는 누구에게나 복잡하고 엉망이 되는 순간이 있다. 그럼에도 지금처럼 좋은 흐름을 타고 있다는 게 기쁘다. 몬짜 이후로 확실히 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
내일은 긴 레이스가 기다리고 있다. 좋은 출발을 하는 게 중요하지만, 그 이후로는 우리만의 레이스를 해야 한다. 타이어 관리가 핵심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소프트 컴파운드가 특히 힘들다. 그다음엔 어떻게 풀릴지 지켜봐야한다.
카를로스 사인츠 (예선 2위)
정말 기쁘다. 오늘 예선을 완벽하게 해냈다고 생각한다. 항상 올바른 타이밍에 올바른 타이어를 사용했고, 강력한 랩들을 이어갔다.물론 톱팀 드라이버가 제대로 한 랩을 돌린다면, 우리가 늘 그렇듯 네다섯 텐트 정도 뒤처질 거라는 건 알고 있었다. 결국 그렇게 한 건 베르스타펜 뿐이었고, 놀랄 일은 아니었다. 나머지 경쟁자들을 제치고 P2를 차지했다는 건 굉장히 좋은 결과다.
(그리드 앞줄 출발에서 어떤 성과를 기대할 수 있냐는 질문에)
내일 목표는 포디움을 지켜내는 것이다. 최선을 다해서 윌리엄스에 첫 포디움을 안겨주고 싶다. 그게 가능하다면 최고의 결과고, 혹시 안 되더라도 그건 레이스가 어떻게 흘러가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리암 로슨 (예선 3위)
솔직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잘 기억도 안 난다. 너무 정신없는 예선이었다. 바쁠 거라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주말 내내 차가 좋았고, 예선에서 꼭 필요할 때도 좋았다. 팀의 모든 분들께 정말 감사드린다. 하지만 내일이 가장 중요한 날이다.
비가 와서 바이저에 물방울이 맺히고, 트랙이 반짝이는 걸 보면서도, 타이어가 아직 뜨겁기 때문에 그립은 남아 있었다. 그래서 머리로는 ‘속도를 줄여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밀어붙여야 해서 두 마음이 계속 싸우는 기분이었다. 정말 까다로웠다. 내일 레이스는 아주 힘들 것이다. 좋은 출발 위치를 가졌지만, 우리가 맞서 싸워야 할 상대들이 누구인지 잘 알고 있고, 거기에 집중할 생각이다.
2025시즌 전체 퀄리파잉 결과 (순서는 2024시즌 팀 성적순)
R01 | R02 | R03 | R04 | R05 | R06 | R07 | R08 | R09 | R10 | R11 | R12 | |
노리스 (4) | 1 | 3 | 2 | 6 | 10 | 2 | 4 | 1 | 2 | 7 | 1 | 3 |
피아스트리(81) | 2 | 1 | 3 | 1 | 2 | 4 | 1 | 3 | 1 | 3 | 3 | 2 |
르끌레르 (16) | 7 | 6 | 4 | 3 | 4 | 8 | 11 | 2 | 7 | 8 | 2 | 6 |
해밀턴 (44) | 8 | 5 | 8 | 9 | 7 | 12 | 12 | 4 | 5 | 5 | 4 | 5 |
베르스타펜 (1) | 3 | 4 | 1 | 7 | 1 | 1 | 2 | 5 | 3 | 2 | 7 | 1 |
츠노다 (22) | 5 | 9 | 15 | 10 | 8 | 10 | 20 | 12 | 20 | 11 | 18 | 12 |
러셀 (63) | 4 | 2 | 5 | 2 | 3 | 5 | 3 | 14 | 4 | 1 | 5 | 4 |
안토넬리 (12) | 16 | 8 | 6 | 4 | 5 | 3 | 13 | 15 | 6 | 4 | 9 | 7 |
알론소 (14) | 12 | 13 | 13 | 13 | 13 | 17 | 5 | 7 | 10 | 6 | 11 | 9 |
스트롤 (18) | 13 | 14 | 20 | 19 | 16 | 19 | 8 | 19 | 14 | 18 | 16 | 18 |
가슬리 (10) | 9 | 16 | 11 | 5 | 9 | 18 | 10 | 18 | 8 | 20 | 10 | 10 |
잭 두한 (7) | 14 | 18 | 19 | 11 | 17 | 14 | NA | NA | NA | NA | NA | NA |
콜파핀토(43) | NA | NA | NA | NA | NA | NA | 15 | 20 | 19 | 12 | 14 | 20 |
오콘 (31) | 19 | 11 | 18 | 14 | 19 | 9 | 18 | 8 | 17 | 15 | 17 | 15 |
베어만 (87) | 20 | 17 | 10 | 20 | 15 | 20 | 19 | 17 | 15 | 14 | 15 | 8 |
로슨(30) | 18 | 20 | 14 | 17 | 12 | 15 | 16 | 9 | 13 | 19 | 6 | 16 |
하자르 (6) | 11 | 7 | 7 | 12 | 14 | 11 | 9 | 6 | 9 | 9 | 13 | 13 |
알본 (23) | 6 | 10 | 9 | 15 | 11 | 7 | 7 | 10 | 11 | 10 | 12 | 14 |
사인츠 (55) | 10 | 15 | 12 | 8 | 6 | 6 | 6 | 11 | 18 | 17 | 19 | 11 |
훌켄버그 (27) | 17 | 12 | 16 | 16 | 18 | 16 | 17 | 13 | 16 | 13 | 20 | 19 |
보르톨레토 (5) | 15 | 19 | 17 | 18 | 20 | 13 | 14 | 16 | 12 | 16 | 8 | 17 |
R13 | R14 | R15 | R16 | R17 | R18 | R19 | R20 | R21 | R22 | R23 | R24 | |
노리스 (4) | 1 | 3 | 2 | 2 | 7 | |||||||
피아스트리(81) | 2 | 2 | 1 | 3 | 9 | |||||||
르끌레르 (16) | 3 | 1 | 6 | 4 | 10 | |||||||
해밀턴 (44) | 16 | 12 | 7 | 5 | 12 | |||||||
베르스타펜 (1) | 4 | 8 | 3 | 1 | 1 | |||||||
츠노다 (22) | 7 | 16 | 12 | 10 | 6 | |||||||
러셀 (63) | 6 | 4 | 5 | 6 | 5 | |||||||
안토넬리 (12) | 18 | 15 | 11 | 7 | 4 | |||||||
알론소 (14) | 19 | 5 | 10 | 9 | 11 | |||||||
스트롤 (18) | 20 | 6 | 20 | 17 | 14 | |||||||
가슬리 (10) | 13 | 17 | 14 | 19 | 19 | |||||||
잭 두한 (7)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콜파핀토(43) |
17 | 14 | 16 | 18 | 16 | |||||||
오콘 (31) | 11 | 18 | 18 | 15 | 18 | |||||||
베어만 (87) | 12 | 11 | 19 | 11 | 15 | |||||||
로슨(30) | 9 | 9 | 8 | 20 | 3 | |||||||
하자르 (6) | 8 | 10 | 4 | 16 | 8 | |||||||
알본 (23) | 5 | 20 | 15 | 14 | 20 | |||||||
사인츠 (55) | 15 | 13 | 9 | 13 | 2 | |||||||
훌켄버그 (27) | 14 | 19 | 17 | 12 | 17 | |||||||
보르톨레토 (5) | 10 | 7 | 13 | 8 | 13 |
■ 1,2라운드 성적이 좋지 않았던 레드불의 리암 로슨이 VCA_RB팀으로 가고 RB에 있던 유키 츠노다가 레드불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 7라운드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부터 알핀의 잭 두한을 대신해 콜라핀토가 5경기를 하게 된다고 발표했지만 5경기가 끝난 11라운드 이후에도 계속 출전하고 있습니다.
퀄리파잉 여러가지 데이터(Telemetry)
글이 마음에 드시면 아래 공감♡버튼 살짝 눌러주세요.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