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안사위 (居安思危)
살 거, 편안 안, 생각 사, 위태할 위
안전함 가운데 있을 때 위태로운 경우를 생각한다.
거는 있다, 안은 편안하다, 사는 생각하다, 위는 위태롭다.요컨대 거안사위는 안전할 때 위태로운 경우를 생각한다는 뜻이다.
예로부터 훌륭한 군주라 일컬어진 임금일수록 이 말을 명심했다. 한 사람을 예를 들어 보면 그는 다름 아닌 당나라의 태종이다. 중국에 정관정요라는 책이 있는데, 거기에 다음과 같은 문답이 기록되어 있다.
어느 날, 태종이 한 신하에게 물었다.
"나라를 유지하는 일은 어려운 일일까, 쉬운 일일까?" 태종의 질문에 위징이라는 신하가 대답했다.
"매우 어려운 일이옵니다."
그러자 태종이 다시 물었다.
"뛰어난 인물을 등용하고, 그들의 좋은 의견을 받아들여 정치를 하면 되지 않는가. 나는 나라를 유지하는 일이 그렇게 어려운 일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데....."
태종의 말에 위징은 이렇게 대답했다.
"지금까지의 황제들을 보십시오. 나라가 위기에 빠졌을 때는 뛰어난 인재를 등용하여 그 의견에 귀를 기울이지만, 나라의 기반이 튼튼해진 후에는 마음이 해이해집니다. 임금뿐만 아니라 신하도 나라보다는 자기 몸의 편안함만 생각하여, 군주가 잘못하는 일이 있어도 감히 그것을 간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군주는 자꾸 잘못을 저지르고 신하는 신하대로 자기의 욕심만을 채우게 되어, 나라의 힘이 갈수록 약해지는 것이다. 나라의 힘이 약해지면 마침내 강한 나라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게됩니다. 예로부터 성인은 안전함 가운데 있을 때 위태로운 경우를 생각한다고 하였습니다.
나라가 태평할 때에야말로 한층 더 마음을 긴장시켜 정치에 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저는 나라를 유지하는 일은 몹시 어려운 일이라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태종은 이와 같은 신하의 말을 듣고 거안사위를 마음에 새겨, 23년 동안 잊지 않았다.
태종이 중국의 오랜 역사 가운데에서 얼마 안 되는 명군으로 칭송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교언영색 (巧言令色)
교묘할 교, 말씀 언, 명령할 또는 하여금 영, 빛 색
입에 발린 말과 남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생글거리는 얼굴 표정
공자는 논어라는 책에서 알랑거리는 말과 비위를 맞추는 얼굴 색은 인이라 할 수 없다고 하면서 그러한 태도를 나쁘다 하였다.
교언은 입에 발린 말이나 알랑거리는 말, 영색은 남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생글생글 웃는 얼굴빛이라고말할 수 있으며 교언영색은, 겉뿐이고 성의 없는 말이나 표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럼 인이란 무엇일까? 인이란 상대에 대한 인간적인 공감이다.
사회 생활을 하는 사회인이라면, 이 인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공자님의 주장이다.
논어에는 교언영색이 또 한 번 나옵니다. 그 말을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입에 발린 말, 남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생글생글 웃는 얼굴 표정, 비굴할 정도로 굽실거리는 태도 등을 좌구명이라는 사람은 부끄러운 일로 생각했다. 나도 같은 생각이다. 또, 마음 속으로는 그 사람을 업수이 여기면서 겉으로만 친구로 사귀는 짓을 좌구명이라는 사람은 부끄러운 일로 생각했다. 나도 같은 생각이다."
'알쓸신잡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 여호모피, 사지, 함사사영, 병불염사, 엄이도령 (0) | 2019.06.14 |
---|---|
고사성어 - 월조대포, 망국지음, 필부지용, 포류지자, 사이비 (0) | 2019.06.13 |
고사성어 - 도탄지고 (塗炭之苦), 각주구검 (刻舟求劍), 계구우후 (鷄口牛後) (0) | 2019.06.07 |
고사성어 - 교토삼굴 (狡兔三窟), 국사무쌍 (國士無雙) (0) | 2019.06.06 |
고사성어 - 일엽지추 (一葉知秋), 가인박명 (佳人薄命), 일목난지 (一木難支) (0) | 2019.06.05 |
고사성어 - 삼인성호 (三人成虎), 일각삼추 (一刻三秋), 개관사정 (蓋棺事定) (0) | 2019.06.05 |
고사성어 - 가빈사양처 (家貧思良妻), 간뇌도지 (肝腦塗地), 청출어람 (靑出於藍) (0) | 2019.06.05 |
고사성어 - 고복격양 (鼓腹擊壤), 서시빈목 (西施顰目),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0) | 2019.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