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고사성어'에 해당되는 글 53건

  1. 2019.07.03 고사성어 - 낭패위간, 주낭반대, 철저성침, 중지성성, 대우탄금



낭패위간 (狼狽爲奸)

狼(이리 랑{낭}) 狽(이리 패) 爲(할 위) 奸(범할 간)

서로 결탁하여 나쁜 일을 함 을 비유한 말.

  

당(唐)나라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酉陽雜俎)의 이야기다. 낭(狼)과 패(狽)는 모두 이리를 뜻하는 말이만,  낭(狼) 은 앞 다리가 길고 뒷 다리가 짧은 이리이고, 패(狽) 는 앞 다리가 짧고 뒷 다리가 긴 이리이다. 


낭(狼) 은 패(狽) 없이 혼자서 일어설 수 없고, 패(狽)는 낭(狼) 없이 걸을 수가 없었다. 때문에 狼과 狽는 항상 한 몸이 되다시피 하여 양을 훔치러 다녔으나, 울타리가 높고 단단하면 그들은 그걸 무너뜨릴 수 없

었다. 


이럴 때면  狼은 狽의 목에 올라타고 狽 는 긴 두 다리를 이용해 일어섰다. 그런 후 狼은 울타리 너머로 긴 앞 다리로 뻗쳐 양을 잡아챘던 것이다.


이리(狼)의 다리는 사실 앞뒤의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나  狽는 가공의 동물인 것 같다. 실패나 사고, 또는 아주 난처한 상황 을 뜻하는 말로 흔히 쓰이는 낭패(狼狽) 라는 말은, 다리의 길이가 다른 두 이리를 묶어 걷게 하면 기우뚱거리며 넘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유래되었다.


낭패위간(狼狽爲奸) 이란 서로 결탁하여 나쁜 일을 함 을 비유한 말이다.

  




주낭반대 (酒囊飯袋)

酒(술 주) 囊(주머니 낭) 飯(밥 반) 袋(자루 대)

먹고 마실줄만 알지 일할 줄을 모르는 쓸모없는 사람 을 비유한 말.

  

송(宋)나라 증조(曾 )의 유설(類說)에 나오는 이야기다. 중국의 오대십국(五代十國) 시기, 마은(馬殷)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젊었을 때는 목공일을 하였으나, 군에 입대한 후에는 손유(孫儒)라는 장수를 따라 양주(揚州)로 들어갔다. 그후, 유건봉(劉建峰)이라는 장군을 수행하여 담주(潭州)로 옮겨갔다. 


훗날 유건종이 부하에게 피살되자, 마은은 곧 우두머리로 추대되었다. 그후 당(唐)나라 때에 마은은 담주 자사(刺史)로 임명되었다.


서기 907년, 대장군 주온(朱溫)이 스스로 황제라 칭하게 되자, 마은은 다시 초왕(楚王)으로 책봉되었다. 마은의 영향으로 그의 친척들도 모두 큰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마은은 향락 만을 알았지 문무(文武) 따위는 조금도 모르는 사람이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일러  술 주머니에 밥 자루(時謂之酒囊飯袋) 라고 하며 얕보았다.


주낭반대(酒囊飯袋)란 먹고 마실줄만 알지 일할 줄을 모르는 쓸모없는 사람 을 비유한 말이다.


  



철저성침 (鐵杵成針)

鐵(쇠 철) 杵(공이 저) 成(이룰 성) 針(바늘 침)

의지를 가지고 노력하면 반드시 성공함 을 비유한 말.

  

명(明)나라 진인석(陳仁錫)의 잠확류서(潛確類書)의 이야기다. 당(唐)나라의 위대한 시인 이백(李白)은, 어렸을 때 공부를 싫어하고 놀기만을 좋아하였다. 


어느 날 어린 이백은 들에서 백발이 성성한 한 노파가 손에 큰 쇠막대를 들고 돌에다 열심히 갈고 있는 것을 보았다. 


이상하게 여긴 이백은 그 노파에게 할머니, 지금 무얼하고 계시죠? 라고 물었다. 그 노파는 이백을 쳐다보더니 이걸 갈아서 가는 바늘을 만들려고 한다. 라고 말했다.


이백은 깜짝 놀랐다. 이렇게 굵은 쇠막대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어요?  그 노파는 이백에게 진지하게 말했다. 이건 어려운 일이 아니란다. 노력만 한다면 쇠막대를 갈아서 틀림없이 바늘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백이 곰곰히 생각해 보니 그 노파의 말은 도리에 조금도 어긋나지 않았다. 이백은 노파에게 정중하게 예를 표하고, 곧 집으로 돌아와 열심히 공부하였다. 이렇게 하여 훗날 이백은 대시인이 되었던 것이다.


철저성침(鐵杵成針) 이란 의지를 가지고 노력하면 반드시 성공함 을 비유한 말이다.

  




중지성성 (衆志成城)

衆(무리 중) 志(뜻 지) 成(이룰 성) 城(성 성)

여러 사람의 뜻을 모아 단결하면 그 역량이 커짐 을 비유한 말.

  

국어(國語) 주어(周語)의 이야기다. 기원전 524년, 주(周)나라 경왕(景王)은 시장에서 유통되던 소액의 돈을 없애고 고액의 돈을 주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백성들은 큰 손해를 입게 되었고, 그들의 원성(怨聲)은 매우 높았다. 그러나 2년 후, 경왕은 

민간에 남은 동전(銅錢)들을 수집하여 엄청나게 큰 종(鐘)을 만들었다. 경왕은 악관(樂官)을 불러 그 소리가 어떤지 물었다.


악관의 대답은 이러했다. 백성들에게 부담과 재물상의 손해를 주며 종을 만들었으니, 그 소리가 다른 악기들과 어울릴 수 없습니다. 백성들 모두가 좋아하는 일은 성공하지 못할 일이 없으며, 백성들 모두가 싫어하는 일은 실패하지 않을 일이 없습니다. 


옛말에 많은 사람들의 뜻은 견고한 성을 이루고, 많은 사람들의 말은 쇠를 녹인다(衆心成城, 衆口煉金) 고 했습니다. 군주께서 하신 일은 결국 실패한 것입니다. 


중지성성(衆志成城) 이란 여러 사람의 뜻을 모아 단결하면 그 역량이 커짐 을 비유한 말이다.

  




대우탄금 (對牛彈琴)

對(대할 대) 牛(소 우) 彈(퉁길 탄) 琴(거문고 금)

어리석은 자에게 도리를 말함을 비유한 말이며, 소 귀에 경읽기 라는 뜻이다. 

   

남조(南朝) 양(梁) 승우(僧祐)의 홍명집(弘明集)에 나오는 이야기다. 옛날 공명의라는 유명한 음악가가 어느 날 들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소를 발견하였다. 


그는 냇물 소리와 목동들의 피리 소리에 흥취가 돋자, 소를 향해 거문고를 퉁기기 시작했다. 반응을 보이지 않는 소에 화를 내는 공명의에게 어떤 사람이 말했다.  


당신의 연주가 나쁜 게 아니고, 소가 당신의 음악을 모르는 것이오. 공명의는 이를 믿지 않고, 아무렇게나 거문고의 줄을 세게 그었다. 갑자기 들리는 큰 소리에 소가 머리를 들고 꼬리를 저었다. 


공명의는 다시 한번 시험해 보기로 하고, 이번에는 거문고로 소의 울음소리와 같은 소리를 내보았다. 소는 다시 머리를 들고 공명의를 향해 울음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에 고명의는 소가 고상한 음악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대우탄금(對牛彈琴) 이란 어리석은 자에게 도리를 말함을 비유한 말이며, 곧  소 귀에 경읽기 라는 뜻이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전화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