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100장면 - 66. 녹두 장군 전봉준

-조선, 동학농민혁명 발발(1894년)

  


1876년 조선은 뒤늦게 제국주의 대열에 뛰어든 일본에 의해 강제로 문호를 개방당했다. 조선 왕조는 왕비 민씨 일족의 세도정치하에 부정부패가 만연한데다 친청파, 친일파로 갈리어 외세를 등에 업고 권력을 유지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었다. 


이때 부패한 봉건왕조를 무너뜨리고 외세를 몰아내려는 민족혁명운동이 일어났으니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이 바로 그것이다. 


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은 전라북도 고부군 궁동면에서 1855년 태어났다. 천안 전씨, 몰락한 양반의 후예인 그는 오척 단신의 작은 체구 때문에 '녹두'라는 별명을 지녔다. 그의 쏘는 듯한 눈빛은 사람을 압도하고도 남았다. 


그의 아버지 전창혁은 향교의 장의였으며 전봉준도 아이들에게 '천자문'과 '동몽선습' 등을 가르치는 훈장이었다. 그의 생활은 몹시 가난해서 논 세마지기 농사에 여섯 식구가 의존 아침엔 밥을 먹고 저녁엔 죽을 먹는 형편이었다. 


그는 1890년 동학에 입도, 고부 접주가 되었다. 동학은 1860년 경주 사람 최제우가 창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하던 천주고, 즉 서학에 맞서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학의 근본 사상은 '인내천' 즉 '사람이 곧 하늘이요 평등학 차별 없나니, 귀천을 가림은 하늘의 뜻을 어기는 것'이라고 했다. 동학은 차별받는 이, 억눌린 사람들의가슴 속에 파고들었다. 


학에는 '삼불입'이라는 것이 있다. 곧 '양반, 부자, 서리는 들어오지말라.'는 것이다. 동학은 상놈, 노비, 백정 그리고 여성들을 위한 종교로 급성장했다. 


당시 일반 백성들의 삶은 대단히 곤궁하고 비참했다. 왕 이하 귀족들의 권세다툼에 눈이 어두워 있고 이른바 '삼정의 문란'이라 하여 탐관오리들이 가렴주구가 극에 달해 농토를 버리고 떠돌며 빌어먹는 자가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게다가 청나라,  일본, 러시아 등 외세가 물밀 듯 밀려들어와 백성들의 생활은 궁핍일로를 걷고 있었다. 


동학농민혁명의 발단도 고부군수 조병갑의 지나친 폭정 때문이었다. 1894년 갑오년 음력 정월 10일 새벽, 첫닭이 울자 머리에 흰 수건을 동여맨 1천여 명의 농민들이 괭이 혹은 죽창을 들고 모여들었다. 매서운 새벽 바람도 잊은 듯 농민군의 사기는 드높았다. 


전봉준의 지휘 아래 농민군은 단숨에 고부관아를 들이쳤다. 그러나 조병갑은 미리 알아채고 부호 은씨 집에 숨었다가 전주로 달아나버렸다. 


관아를 점령한 농민군은 갇혀 있던 억울한 사람들을 풀어주고, 조병갑이 세금으로 거뒀던 쌀을 빼앗아 도로 나누어주었다. 소식이 알려지자 각지에서 농민들이 속속 가담해왔다. 김개남, 손화중, 최경선, 오하영, 손여옥 등이 각각 농민군을 이끌고 집결했다. 


백산에 진을 치고 정세를 살피던 농민군은  3월 27일 '보국안민'의 깃발을 올리고 격문을 발표 행동을 개시했다. 이들의 목표는 전주성이었다. 


'첫째, 사람을 죽이지 말고 물건을 해치지 말라. 둘째, 충효를  다하고 제세안민하라. 셋째, 일본 오랑캐를 몰아내고 성도를 깨끗이 하라. 넷째, 군대를 몰고 서울로 들어가 권귀를 멸하라. '


이는 전봉준이 제창한 농민군의 4대 강령이다. 1만 3천 명의 농민군은 황토현에서 관군을 격파하고 정읍, 고창, 무장, 영광, 함평을 파죽지세로 함락, 마침내 4월 27일 전주에 입성했다. 


고종과 민씨 일파는 몹시 당황했다. 민영준은 비밀리에  청나라 군벌 원세개를 만나 청나라 군사를 원병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조선을 완전히 수중에 넣을 기회를 엿보고 있던 청은 이때 이미 출병준비를 시작한 뒤였다. 


5월 2일 군함 2척을 이끌고 청군이 인천항에 상륙했다. 한편  호시탐탐 조선을 장악할 기회를 노리고 있던 일본도 병력을 급파, 7일 주한 일본공사 오도리가 420명의 병사와 대포 4문을 이끌고 서울로 들어왔다. 


같은 날 섭지초가 이끄는 청군 1천 5백 명이 아산만에 도착하고 일본군 6천여 명이 인천, 서울 일대를 장악했다. 일본은 이 기회에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영향력을 일소하고 자국의 세력을 부식시키고자 했다. 


그러자 전봉준은 외세를 몰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라고  판단, 더 이상 진격을 하지 않고 강화를 제안했다. 마침내 5월 9일 전주화약이 맺어지고 농민군은 전주에서 철수했다. 


이후 농민군은 호남 일대에 집강소를 세우고 농민자치를 실천했다. 그러나 약속과는 달리 청,일 양군은 저희끼리 전쟁을 벌였고 그 결과 일본이 승리를 거둬 조선은 일본의 지배하에 들게 되고 말았다. 


9월, 농민군은 다시 일어섰다. 10만의 대군을 이루고 항일구국의 기치를 높이올린 혁명군은 공주를 향해 진격했다. 그러나 10월 21일 목천 세성산 전투에서 일본군의 우세한 화력 앞에 무너지고 말았다. 


죽창으로 싸우는 농민군에게 일본군은 무수한 총알세례를 퍼부었다. 쓰러진 농민군은 500여 명에 달했고 그들이 흘린 피는 냇물이 되어 골짜기에 흘러넘쳤다. 


11월, 7일간에 걸쳐 벌어진 공주 공방전은 몹시도 치열했다. 마지막 날, 우금치 전투에서 대포와 총을 앞세운 일본군을 맞아 농민군은 분투했으나 역시 패하고 말았다. 농민군은 논산 방면으로 후퇴했다. 


전봉준은 재기를 계획했다. 서울로 잠입하여 내외정세를 살필 생각을 한 그는 순창 피로리의 옛 부하 김경천을 찾았다. 그러나 그는 전봉준을 주막으로 안내한 뒤 관가에 밀고하고 말았다. 


위당한 전봉준은 쌓아놓은 나뭇단을 밟고 한 발이나 되는 담장을 뛰어넘었다. 순간 잠복하고 있던 관군이 총개머리판으로 그의 발목을 후려갈겼다. 전봉준은 그 자리에 쓰러지고 말았다. 12월 2일의 밤이었다. 


전봉준은 일본군의 감시하에 서울로 호송되어 일본 공사관 감방에 갇혔다. 전봉준은 두려워한 관군이 일본에게 떠넘겼기 때문이다. 


그의 불굴의 투지와 기개에 감복한 일본인들은 그를 회유하고자 갖은 수단을 다 썼지만 전봉준은 '구구한 생명을 위해 살 길을 구함은 내 본의가 아니다. ' 라고 일축했다. 그는 다섯 차례 법정 심문을 받고 1895년 3월 29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의 나이 41살이었다. 


그는 죽었지만 반봉건 반외세운동은 계속되었다. 사람들은 그를 생각하며 노래를지어 대대손손 불렀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전화카드
,